블록체인의 특징, 구조, 종류 등을 설명
1.1.1 블록체인의 특징
- 블록체인은 비트코인의 핵심 기술이며 분산 원장 기술(DLT :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) 라고도 불림
- 원장이란 개인 또는 기업 간 거래를 기록하기 위한 장부.
- 이러한 송금 거래는 일반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중앙 기관이 관리하는 장부에 기록된다. 그리고 중앙 기관은 거래를 안전하게 기록하기 위한 집중형 시스템을 구축하고 장애 대책으로 이중화 구성과 백업 구성 등을 고려해 전체 시스템을 구축하기에 엄청난 비용이 소모된다.
- 이에 비해 블록체인은 여러 기업, 단체 등의 참여자가 동일한 원장을 공유한다. 그리고 합의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제 3자에 의존하지 않고 원장을 갱신하고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. 이러한 특징을 통해 여러 기업이 참여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처리 속도 가속화와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고 알려짐. 그래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실현할 수 있다는 가능성.
- 원장 간 일관성을 유지하는 구조(합의)를 통해 동일한 내용이 유지됨
- 암호 기술을 통해 거래의 투명성을 확보하며 서명을 통해 트랜잭션의 출처를 특정.
- 원장 1개에 문제가 발생해도 남은 원장을 통해 시스템 정상 가동 가능(시스템 가용성의 향상)
1.1.2 블록체인의 구조
1. 합의를 통한 원장 갱신
- 블록체인은 원장이 분산되어 있기에 내용의 일관성 유지가 중요
- 블록체인은 합의라는 구조를 사용해 분산된 원장의 일관성을 유지. 다양한 방식이 존재함. 간단히 말해 어떤 거래(트랜잭션)이 발생하면 그 거래를 원장에 기록해도 되는지 참가자가 검증하고 문제 없다면 해당 거래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저장.
2. 원장 개요
- 검증된 트랜잭션을 '블록' 이라는 데이터 집합으로 만들어 기록을 저장.
- 블록 생성 시 직전 블록의 '해시값'을 추가해서 저장. 각 블록은 이전 블록의 해시값을 통해 이전 블록과 연결된 형태이기 때문에 블록체인이라고 부른다.
- 블록 데이터를 변조하려고 하면 계산된 해시값이 달라진다. 그렇기 때문에 연속된 블록의 해시값도 모두 변경해야 하며, 그렇게 되면 모든 블록을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특정 블록을 변조하는 것은 불가능.